정낙신 교수 연구팀, South구조 (S)-MC ribonucleosides 합성에 필수적인 amino sugar 중간체 효고困 합성 경로 개발

정낙신 교수 연구팀, South구조 (S)-MC ribonucleosides 합성에 필수적인 amino sugar 중간체 효고困 합성 경로 개발 종합약학연구소 겸무교원인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정낙신 교수 연구팀은 (S)-MC 리보뉴클레오시이드 합성의 핵심 amino sugar 증간체에 효과적 인합성 경로를 개발했습니다. 스틸 커플링(Stille coupling)과 샤레트의 비대칭 사이클로프로판 화(Charette's asymmetric cyclopropanation)를 핵심 단계로 채택하여, 18 단계의 전 과정에서 3.4%의 전체 수율로 (S)-MC시티딘올 성공적으로 얻었습니다. […]

경기도 시흥 교육지원청과 MOU 체결

경기도 시흥 교육지원청과 MOU 체결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종합약학연구소 및 천연물과학연구소 참여)과 경기도 시흥교육지원청간 상호 협력 체결식(MOU)이 2월 16일(목) 오전 10시 30분에 개최되었습니다. 경기도 시흥교육지원청 3층 교육장실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에는 종합약학연구소 겸무교원인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이상국 학장, 진영원 교무부학장, 오원근 약초원장, 나정오 행정실장, 한상일, 민필기 약초원 직원이 참석하였으며, 경기도 시흥교육지원청 측에서는 이상기 시흥교육지원청 교육장, 오찬숙 교육국장, 이정식 […]

이상국 교수, 제15회 한풍상암생약상 수상

이상국 교수, 제15회 한풍상암생약상 수상 종합약학연구소 겸무교원인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이상국 교수가 제15회 한풍상암(尙岩)생약상을 수상했습니다. 지난 2022년 11월 4일 이화여자대학교 ECC극장에서 열린 한풍상암생약상 시상식은 한국생약학회 제53회 정기총회ㆍ학술대회와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한풍상암생약상은 생약전문 제약회사 한풍제약의 창업자이자 생약 제제를 최초로 과립화하는 기술을 개발한 상암(尙岩) 고 조필형 박사의 위업을 기리고자 2008년 제정된 상으로, 생약학 및 천연물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업적을 이루고 […]

하노이 약학대학과 MOU 체결

하노이 약학대학과 MOU 체결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종합약학연구소 및 천연물과학연구소 참여)은 2023년 2월 6일 베트남 하노이대 약학대학과 상호교류협정(MOU)을 체결하였습니다. 하노이 약학대학은 베트남에서 가장 전통 있는 의약학대학으로 1902년에 설립되어 1961년에 약학대학으로 분리되었습니다. 하노이 약대는 현재 12,000명 이상의 약사를 배출하였으며, 베트남 전역의 보건 부문 의료 부분에서 지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명문 대학입니다. 종합약학연구소 겸무교원인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이상국 학장, 진영원, 김대덕 […]

베트남 국립약물자원연구소 MOU 체결

베트남 국립약물자원연구소 MOU 체결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종합약학연구소 및 천연물과학연구소 참여)과 베트남 국립약물자원연구소간 상호 협력 체결식(MOU)이 2023년 2월 6일에 개최되었습니다.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이 협약식에는 종합약학연구소 겸무교원인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이상국 학장, 진영원, 김대덕, 오원근 교수가 참석하였으며, 베트남 국립약물자원연구소 측의 핵심관계자가 참석하였습니다. 이번 협약에서 양측은 향후 5년간 학술교류 등 상호 협력을 추진해 나갈 것을 협약했습니다.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종합약학연구소 및 […]

정낙신 교수 연구팀, 카보사이크릭 뉴클레오사이드 항바이러스제 특허 등록

정낙신 교수 연구팀, 카보사이크릭 뉴클레오사이드 항바이러스제 특허 등록 [연구 필요성] ● 지난 15년간, SARS-CoV, MERS-CoV, CHIKV, ZIKV 등 Positive-stranded RNA (+RNA) virus가 지속적으로 창궐하면서 이에 대한 치료제 개발이 절실해짐. ● 이에 따라, 종합약학연구소 겸무교원인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정낙신 교수 연구팀은 뉴클레오사이드 항바이러스제 개발을 진행함.  {연구성과/기대효과} ● 정낙신 교수 연구팀은 viral RdRp와 숙주의 SAH hydrolase를 동시에 저해하는 […]

이상국·박형근 교수, 해양천연물인 사마필린 A 및 유도체로 유방암 치료제 개발 – 셀레노사마필린 A 유도체로부터 전이성 유방암 항암기전 밝혀내

이상국·박형근 교수, 해양천연물인 사마필린 A 및 유도체로 유방암 치료제 개발 – 셀레노사마필린 A 유도체로부터 전이성 유방암 항암기전 밝혀내 □ 우리나라 남해안에 서식하고 있는 해양천연물인 해면체 (Psammaplysilla sponge) 유래 사마필린 A (Psammaplin A, PSA) 및 PSA의 다이설파이드 부분이 다이셀레나이드로 치환된 유도체에 의해 사람 암세포에서 우수한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종합약학연구소 겸무교원인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박형근 교수 연구팀과 이상국 […]

이정원 교수, TM4SF5-매개 만성간질환 치료제 개발 관련 특허: TM4SF5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이용한 간질환의 진단방법 및 간질환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이정원 교수, TM4SF5-매개 만성간질환 치료제 개발 관련 특허: TM4SF5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이용한 간질환의 진단방법 및 간질환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 국내 특허 대한민국특허 (1) 10-2112760 등록 2020-05-13 (출원 10-2018-0129367, 2018-10-26; 원출원 10-2017-0140514 출원 2017-10-26) (TM4SF5-NAFLD): TM4SF5 mRNA 및 단백질 그리고 그와 결합내지는 하위인자로 알려진 여러 mRNA/단백질들의 발현 수준, 결합능력, 인산화 정도를 비알코올성 지방간 […]

이정원 교수 연구팀, Immune checkpoint로서의 tetraspanin TM4SF5의 기능 제어를 통한 항간암 가능성 제시

이정원 교수 연구팀, Immune checkpoint로서의 tetraspanin TM4SF5의 기능 제어를 통한 항간암 가능성 제시   암세포 혹은 항원제공세포의 막에 PD-Ll 발현 혹은 NK 세포 및 T 세포의 막에 발현하는 PD-1 및 CTLA-4 같은 막단백질들의 상호작용(결합)은 궁극적으로 면역세포의 기능 저하로 이어져 암세포에 대한 공격 능력을 잃고 암세포의 면역 회피가 가능하게 하는 immune checkpoint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